시차적응 - 영화와 미술 그리고 과학
Kanal-Details
시차적응 - 영화와 미술 그리고 과학
Neueste Episoden
52 Episoden[S3E11] 포스트 트루스 - 탈진실의 사회 2
[S3E10] 포스트 트루스 - 탈진실의 사회 1
[S3E09] 고기로 태어나서 - 래영님이 선정한 "2019년에 읽은 최고의 책 2"
[S3E08] 이방인 - 래영님이 선정한 "2019년에 읽은 최고의 책"
[S3E07] 2020년 새해 맞이 근황 토크
[S3E02] 뉴욕타임즈에서 선정한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품 25점에 대한 논박을 소개합니다
지난 7월 15일에 뉴욕타임스에서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의 동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작품 25점을 선정했습니다.
(https://www.nytimes.com/2019/07/15/t-ma...
[시차적응-11회 1부] 아주 짧은 데이비드 호크니 전시 감상평
데이비드 호크니를 두 번 녹음했지만, 음질과 내용에 아쉬움이 있어서
이번 화에 짧게 호크니 전시를 주제로 이야기해서 업로드합니다.
[902] 한국, 한국인 - 외국인의 눈으로 본 한국과 한국인
바깥의 시선으로 바라 본 한국의 역사와 한국인의 특이점. 한국에 오래 체류할 외국인에게 꼭 추천해주고 싶은 도서.
[901] 더 길티 - 제한된 장소에서 소리만으로 긴장을 고조시키는 영화
한 통의 신고전화에서 이어지는 긴박한 스릴러 영화에서 소리가 주는 중요성을 알 수 있다
[802] 전후 현대 미술 - 실존주의 편 (자코메니, 헨리 무어, 액션 페인팅 등)
전쟁 후 유럽 미술의 큰 흐름, 실존주의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작품 및 설명 링크 - https://medium.com/@indegser/%EB%AF%B8%EC%88%A0%EC%B2%A0%ED%95%...
[801] 그린북과 사바하
[702] 현대미술의 역사 - 2차 세계대전 직후의 예술 흐름
2차세계대전은 세계 미술의 판도를 바꿨다. 뉴욕은 예술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는 공산주의자들과 추상주의자간의 미학 논쟁이 벌어진다.<...
[701] 더 나은 논쟁을 할 권리 - 여성학으로 보는 여자들이 처한 한국의 문제들
[603 - 2] 마르셀 뒤샹 전시 번외 편 - 나쁜 예술, 좋은 예술
[603 -1] 마르셀 뒤샹 전시 번외 편 - 뒤샹이 레디메이드를 만든 이유?
[602-1] 아는 여행 번외편 - 세 남자의 아는 여행
[601] 언브레이커블, 23아이덴티티 - 오랜 시간에 걸친 샤말란감독 히어로 삼부작의 시작
샤말란 감독의 독특한 소재와 그걸 뒷받침하는 배우들의 연기가 만들어 낸 색다른 히어로물
[504]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0 서울편 2
만 읽고 여행을 가고 싶게 만들 수 있을까? 그것도 해외도, 다른 도시도 아닌, 서울에 살고 있는 서울 사람에게 서울을.
[503] 이슬람의 시간 - 우리가 모르는 이슬람 제국의 탄생과 몰락 이야기
이슬람은 어떤 종교이며, 그 종교 위에 지어진 이슬람 제국은 어떻게 성장했을까?
헝가리에서 인도까지 퍼져있던 대제국은 왜 몰락하게 되었을까?
[401] 2018년 올해 가장 영향력 있었던 아티스트 4인
이번 회는 연말을 맞아 준비한 컨텐츠로 미술 옥션 사이트 Artsy에서 선정한 "2018년 올해 가장 영향력 있었던 아티스트 4인"을 소개합니다.
카페에서 녹...
[302] 더 브레인, 데이비드 이글먼 - 보고 읽고 듣는다, 뇌가
커다란 우주 속에 티끌 같은 우리.
그 티끌 속 1.5kg 밖에 안되는 작은 뇌에 우리가 이해하고 인식하고 느끼는 우주가 담겨져 있다.
그 작은 우주에...
[301] 내 이름은 빨강, 오르한 파묵 - 우리가 모르는 이슬람 세밀화의 세계
1591년 오스만 제국의 수도 - 이스탄불에서
한 세계의 절대적인 예술 양식이 더욱 견고해지거나 혹은 한순간에 무너지는 기로에 놓였다.
오...
[203] 디트로이트-인종과 권력의 문제를 파고드는 실화 바탕의 영화
차별의 시대에 살아가는 현재의 우리는 이 영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1967년 알제모텔에서 있었던 인종차별의 현장을 가장 가깝게 느낄 수 있다.
[202] 다른 방식으로 보기, 존 버거 - 회화를 읽는 다른 방식
우리는 말보다 보는 것을 먼저 배운다. 말보다 먼저 배운 보는 것에 대해 얼마나 고민하고 있었나. 그에 대한 담론을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