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홀릭
Kanal-Details
데이터홀릭
모두가 궁금해하는 데이터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데이터에 미쳐있는 사람들과 함께하는 데이터홀릭! 지금 시작합니다!
Neueste Episoden
312 EpisodenEp(306) 살아남으려면 AI를 도입할 수밖에 없는 대학들
"AI 안 하면 망한다"는 표현이 과장이 아닌 시대가 되었습니다. 대학들이 AI 도입에 대해 느끼는 절박함은 상상 이상입니다. 교수들은 사설 학원에서 AI 강의를...
Ep(305) 데이터도 없으면서 AI 혁신을 하겠다고?
"우리도 AI 혁신해야 한다"고 외치는 기업들, 정작 제대로 된 데이터는 갖고 있을까요? 한글 파일과 셀 병합한 엑셀 파일을 AI에게 던져주고는 "왜 이해 못 해?"...
Ep(304) AI가 일자리를 대체하는 메커니즘
AI가 일자리를 대체한다는 막연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실제로 어떤 순서와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을까요? HR 데이터 분석 전문가 이중학님과 함께 AI가 직무...
Ep(303) AI 때문에 박사도 석사도 필요 없는 시대가 왔다!
학부생이 ChatGPT로 쓴 보고서가 박사가 쓴 보고서보다 나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기업들은 이미 알고 있습니다. 높은 학력에 높은 연봉을 주느니, AI 잘 쓰는...
Ep(302) AI 쓰는 연구자 vs 안 쓰는 연구자
AI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 과연 정당한 일일까요? 네이처가 실시한 대규모 서베이 결과를 보면 놀랍게도 연구자들의 의견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박사과정생 상당...
Ep(301) AI 시켜서 리포트 써냈다가 폭망한 썰 푼다
대학 과제에 AI를 사용하는 것은 이제 당연한 일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일본 게이오 대학의 한 교수가 학생들의 AI 사용을 적발하기 위해 강의 자료에 '보이지...
Ep(300) 무지성 AI 사용자들의 등장
AI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시대가 왔습니다. '무지성 AI 사용자들'은 생각하는 과정을 건너뛰고 문제를 통째로 ChatGPT에 복붙합니다. 놀라운 점은 이런 방식이...
Ep(299) AI를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다는 착각
온갖 AI 도구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정작 업무에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AI는 워낙 쉬운 도구이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쓸 수 있다는...
Ep(298) 사람들이 AI를 쓰지 않는 "진짜" 솔직한 이유
AI 기반 도구가 등장한 이후, 많은 사람들이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처럼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은 일부에 불과합니...
Ep(296) AI와 데이터로 비상계엄에 맞서는 방법
위기의 순간, 데이터와 기술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하는 시민 개발자들이 있습니다. 밤을 새워가며 웹사이트를 개발하는 시민 개발자들. 이들은 왜...
Ep(294) "AI가 낸 연구 아이디어, 사람보다 더 창의적이라고?"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창의적인 연구 아이디어 제안, AI가 더 뛰어난 성과를 보였습니다. 스탠포드 AI 연구팀이 100명 이상의 NLP 연구자들과 함께 진...
Ep(293) 하루 만에 뚝딱! AI와 함께 웹사이트 만들기
"이제 웹 개발은 AI가 다 해준다던데..." 정말 그럴까요????? 오늘 에피소드에서는 최근 Claude와 함께 초스피드로 '대통령 담화문 뜯어보기'와 '비상계엄 타임...
Ep(291) 2024 한국 데이터 저널리즘 어워드 수상작 분석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속에서도 많은 언론인들은 현장을 지키며 진실을 기록했습니다. 이처럼 우리 사회의 중요한 순간들을 기록하고 진실을 파헤치는...
Ep(289) "AI와 사람이 협업해봤자 AI 혼자만도 못하다?" MIT의 놀라온 연구 결과!
AI와 협업하면 업무 성과가 높을 것 같지만 MIT 집단지성센터의 최신 연구에 따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합니다. 370개의 실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일의 종류...
Ep(288) 선거 결과 시각화 모아보기.zip
2024 미국 대선,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그 순간! 각 언론사들은 어떻게 개표 결과를 전달했을까요? 지난 에피소드에 이어, 이번에는 선거 결과를 시각화한 다...
Ep(287) AI 모델 평가의 비밀: 벤치마크부터 실무 현장까지
벤치마크 테스트만으로 AI의 성능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정답이 있는 문제는 잘 풀지만, 실제 업무에서의 성능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특히 심리상담처럼 정답...
Ep(286) 선거 예측 시각화의 핵심은 불확실성을 '잘' 보여주는 것?!
2024 미국 대선을 앞두고 각종 언론사들이 예측 결과를 쏟아냈는데요, 다양한 시각화의 핵심은 다름 아닌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것이었습니다. 우리의 예측이 '...
Ep(285) 데이터 분석 도구의 진화: AI로 싹 다 바뀌는 데이터 분석 도구들!
데이터 분석하려면 코딩이 필수였던 시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ChatGPT와 Cursor 같은 AI 도구의 등장으로 이제는 자연어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시대가 왔으...
Ep(284)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바라보는 박박사의 시선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파이프라인, 데이터 매쉬 등 도대체 용어가 이렇게 많을 수 가 있을까요? 그 중의 하나인 데이터 파이프라인에...
Ep(283) PyConKr 2024 소개 - 오늘코드 박조은님
파이콘 한국 2024의 아침이 밝았습니다!
이번 파이콘 한국은 10번째 열리는 행사인 만큼 많은 분들의 참여를 위한 활동들을 준비했다고합니다.
특히...
Ep(282) 파이콘 한국과 해외 PyCon 원정대 - 오늘코드 박조은님
코로나의 밤이 가고 개발자 컨퍼런스의 아침이 밝았습니다! 작년(2023년)부터 다시 활발히 오프라인 컨퍼런스가 열리고 있는데요.
한국 개발자 컨퍼런스...
Ep(281) 데이터 시각화, 이렇게 공유하지 맙시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일명 "데이터 시각화, 이렇게 하지 맙시다" 심화 편입니다. (기본 편은 241번째 에피소드를 참고해 주세요!) 우리는 보통 차트 자체가 잘못...
Ep(280) 감정을 건드리는 ChatGPT 고급 음성 모드 제대로 써먹기
ChatGPT의 음성 모드가 단순한 음성 인식을 넘어 감정을 담아 말하고, 실시간으로 여러 언어를 통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놀라운 기술이 우리의 일상과 업...
Ep(278) JD 읽어주는 박박사 토스 데이터 직군
저만 그런걸까요? 최근 토스 데이터 직군의 전방위 채용 광고를 계속 보게 되었습니다.
어떤 직군을 채용하는거지? 그 동안은 따로 이렇게 채용하지 않았...
Ep(279) AI 영화제의 탄생: Reply AI 영화제 수상작 들여다보기
AI와 영화의 만남, 어떤 결과물이 나올까요? Reply AI 영화제에서 그 해답을 찾아봅니다. 59개국에서 1,000편 이상 출품된 이 영화제의 뒷이야기와 수상작 'To D...
Ep(276) 박박사가 살펴보는 데이터 생태계 DataFusion
박박사가 최신 데이터 인프라 도구들을 살펴본 내용을 공유합니다.
기존 강자인 Spark, kafka 등 java 기반의 도구들과 경쟁하려고 하는 새로운 rust 생태...
Ep(277) Datawrapper로 하는 파워포인트 데이터 시각화
평소 파워포인트를 이용해 데이터 시각화할 일 많으신 분들께 희소식입니다. 노코드 데이터시각화 도구 Datawrapper가 파워포인트에도 진출했습니다!
Ep(272) 최신상 IDE, 포지트론을 떠받치는 거인들
Posit에서 RStudio의 다음 세대 IDE인 포지트론(Positron)을 출시했습니다!
엄청난 기능들을 탑재하고 있어서 데이터를 다루는 사람들의 마음을 두근거리...
Ep(275) 연구 설계부터 논문 작성까지 혼자 다 해먹는 AI 과학자
AI가 논문을 작성하고 리뷰하는 시대가, 이제 진짜로 열렸습니다. 연구 아이디어 생성부터 실험, 논문 작성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도구가 등장했거든요. 학...
Ep(274) LLM, 사회과학 연구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사회과학 연구에서 LLM의 잠재력에 대해 논의해왔지만, 일각에서는 좀 망설이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신뢰 및 편향의 문제로 인해 실제...
Ep(273) AI 도구 만족도 조사 IT는 만족, HR은 실망?
AI 도구 만족도 조사 결과가 화제입니다. 직군에 따라 AI 도구 만족도가 다르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 해석, 과연 믿을 만할까요? 작은 표본의 함정, 직군...
Ep(271) 표, 어디까지 예쁘게 만들어봤니?
엑셀 파일을 받았을 때, 이 데이터를 어떤 차트로 보여줄지부터 고민하셨나요? 하지만, 표(table)야말로 데이터 시각화의 근본 중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죠.
Ep(270) 클로드와 함께 편지쓰기
AI가 좋은 것은 알겠는데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던 분들 많으시죠? 이제 데이터홀릭에서 진행하는 [일상을 바꾸는 AI] 시리즈와 함께 해보세요. 재미있고 쉽게 AI...
Ep(269) 데이터 분석에도 레벨이 있다
데이터 분석에도 위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데이터를 토대로 의사결정했다고 해서 다 같은 게 아닙니다.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해서, 어떻게 분...
Ep(268) JD 톺아보기 data platform
데이터 분석이나 인프라에 기술 용어들이 난무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내가 알아야 할 것이 이렇게나 많다니!
그래서 박박사가 데이터 인프라, 데이터 플랫...
Ep(267) Claude, AI에게 성격을 부여하다
AI에 인간적 성격을 부여하는 것은 단순한 기술이 아닌 철학적 도전입니다. AI 성격이란 무엇이며 성격이 그들에게 왜 필요할까요?
이번 에피소드...
Ep(266) 연구자들의 공통된 목소리 "모든 일자리가 AI의 영향을 받는다!"
AI가 모든 직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은 과장된 주장이 아니라 많은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내놓는 전망입니다. 경제적 효율성에 따라 순서와 정도의 차...
Ep(265) AI의 시대! 돈 때문에 일하던 시절은 지나간다!
경제적 목적으로 일을 하던 시절은 이제 지나가고 있습니다. 물론, AI의 등장 때문이죠.
AI가 사람과 일의 관계를 어떻게 바꾸어 놓고 있을까요?
HR...
Ep(264) AI가 나의 승진을 결정한다면?
내 직무 배치나 승진을 AI가 결정한다고요?
입사 후에 이뤄지는 배치, 직무 순환, 승진 등등 HR 담당자의 고유한 업무 영역이었던 이 분야들도 AI...
Ep(247) 공공데이터 활용 기업 실태조사 뜯어보기
국내 기업들은 공공데이터를 얼마나 활용하고 있을지 궁금하시죠? 그런데 마침 NIA에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